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중국 천주교회사 : 베이징교구를 중심으로 - ④ 공산화 이후의 베이징교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385회 작성일 19-04-10 13:47

본문

중국 천주교회사 : 베이징교구를 중심으로 - 공산화 이후의 베이징교구


중국의 공산화는 제2차 세계대전이 종결되고 다시 국(國共) 분열이 이루어진 1946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어 1949101일 모택동(毛澤東)이 이끄는 공산당이 장개석(蔣介石)의 국민당에 승리하고 베이징에 공산당 정부를 수립하면서 완전히 공산화가 이루어지게 되었고, 베이징대교구뿐만 아니라 중국 교회 전체가 새로운 변화를 겪어야만 하였다. 1951년 초부터 공산당은 애국 대중 운동이라는 종교 정책 아래 자양(自養)자전(自傳)자치(自治)라는 3자 운동(三自運動)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교회를 교황청과 단절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에 동조하지 않는 베이징의 외국 선교사들은 추방되기 시작하였고, 교회 학교와 시설들이 폐쇄되었으며, 1951628일에는 교황 대사 리베리(Riberi)가 체포 추방되었다. 아울러 북당도 폐쇄되어 오랫동안 학교와 창고로 이용되었다. 1950년에만 해도 중국을 떠난 선교사수는 2,274명에 달하였다.


공산당의 3자 운동은 교황청이나 서양 제국과의 관계 단절을 바탕으로 공산당을 지지하도록 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 목적은 1955년에 이르러 애국회(愛國會) 결성으로 드러나게 되었는데, 이 무렵에는 적어도 100명의 중국인 사제, 50명의 신학생, 30명의 수도자, 4,000명의 신자가 수감되어 있었으며, 남아 있는 외국인은 27(사제 16, 수녀 11)에 불과하였다. 이어 1957년에 결성된 관변 조직인 중국 천주교 애국회는 로마 교황청과의 단절을 선언하고 이듬해부터는 독자적으로 주교를 임명하기 시작하였다.


이어 10년 뒤에 시작된 문화 혁명(19661976)으로 중국 교회는 다시 한 번 시련을 겪어야만 하였다. “사구(四舊, 낡은 사상문화풍습습관) 타파계급투쟁의 구호 아래에서 홍위병들에 의해 모든 교회는 폐쇄되거나 파괴되었으며, 성직자들은 추방되거나 살해되었다. 그 결과 교회가 지하로 숨어들게 되면서 종교 활동 또한 비밀리에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모택동 생존시인 1971년에 와서 다시 문을 열 수 있던 곳은 남당뿐이었는데, 이곳에서의 미사에 참석할 수 있던 사람들은 외교관이나 외국인이었다. 그러다가 1976년에 모택동이 사망하면서 불게 된 중국의 개방 정책으로 부분적인 종교의 자유가 허락되기 시작하였다. 신학교가 개교하였고, 1978년부터는 2030년씩 옥고를 치른 사제들이 석방되었으며, 애국 교회는 다시 활성화되어 갔다. 이어 1979725일에는 애국 교회의 부철산(傅鐵山) 신부가 베이징의 주교로 선임되어 오랫동안의 공석을 메우게 된다.


16481930년에 순교하여 18891956년 사이에 시복된 120명의 중국 순교자들은 2000101일 로마 베드로 대성전에서 시성되었다. 이 중국 성인들은 서양 선교회 소속 33, 중국인 사제 4, 평신도 83명 등이다. 현재(20039월 발표) 중국 애국회에는 97개 교구, 73명 주교, 2,600명 사제, 6,000개 성당, 500만 명 신자가 있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주교 117, 사제 약 3,600, 신자 약 1,200만 명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따라서 애국회의 공식 발표 외에 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는 주교가 40여 명, 사제가 1,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