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중국 천주교회사 : 베이징교구를 중심으로 - ① 베이징 개교와 베이징교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549회 작성일 19-04-10 13:41

본문

중국 천주교회사 : 베이징교구를 중심으로 - ① 베이징 개교와 베이징교구 


중국 천주교회사 : 베이징교구를 중심으로

 

베이징 개교와 베이징교구


베이징 지역에 그리스도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은 원() 나라 때인 13세기 중엽이었다. 그에 앞서 당나라 멸망 후 쇠퇴했던 경교(景敎, Nestorianism)11세기 이래로 다시 몽고(蒙古) 사회에 널리 전파되었다. 한편 천주교회에서는 1264년 세조(世祖, 쿠빌라이)가 베이징(당시의 이름은 上都)으로 천도한 지 30년 만인 1294년에 교황 니콜라오 4세의 친서를 휴대한 이탈리아 프란치스코회의 몬테 코르비노(Giovanni de Monte Corvino, 孟高味諾) 신부가 세조를 알현하였다. 이후 코르비노 신부는 성당을 건립하면서 전교에 힘썼고, 교황 클레멘스 5세는 1307721일에 베이징대교구를 설정함과 동시에 코르비노 신부를 베이징 대주교 겸 동양의 총대주교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원이 쇠퇴하고 명이 흥기하면서 베이징대교구는 많은 손실을 입은 채 14세기 말에 이르러 폐지되고 말았다.


베이징 교회는 명(13681644) 말기에 이르러 포르투갈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 전교를 재개하면서 다시 설립되었다. 특히 마태오 리치(Matteo Ricci, 利瑪竇) 신부는 1582년 마카오에 도착한 지 8년 여 만인 1601124일에 베이징에 진출하여 새로 교회를 설립했으며, 16058월에는 판토하(Pantoja, 龐迪我) 신부 등과 함께 남당(南堂 : 선무문천주당,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 천주당)을 축성함으로써 베이징 전교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후 예수회 선교사들은 1616년의 남경 박해(南京迫害)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지만, 이를 극복하고 1644년 명이 멸망할 때까지 중국 각처로 천주교를 전파해 나갔다. 한편 1633년에는 스페인의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이 중국에 입국함으로써 예수회의 단독 선교가 끝나게 되었다.


도미니코회와 프란치스코회의 진출은 선교 단체 사이에서 전교 방침이나 보호권(保護權, padroado) 문제를 놓고 갈등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의 입관 이후에는 마침내 의례 논쟁(儀禮論爭, rites controversy)으로 비화되었다. 더욱이 1680년에 아우구스티노회 선교사들이, 1684년에 교황청으로부터 전교권을 인정받은 파리 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이, 1687년에 프랑스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문제가 더욱 복잡해지게 되었다. 이어 포르투갈은 1576년 마카오를 보호 교구(保護敎區)로 설정한 데 이어 1690410일에는 베이징교구와 남경교구를 보호 교구로 설정하였다. 이로써 14세기 말에 베이징대교구가 폐지된 지 300여 년 만에 베이징교구가 부활되었다.


베이징교구의 초대 교구장으로는 절강(浙江)의 대목으로 있던 이탈리아 프란치스코회의 기에사(Chiesa, 伊大仁) 주교가 1690년에 임명되어 1701년에 베이징에 도착하였다. 그러나 의례 논쟁의 종결을 위해 1715319일에 교황 글레멘스 11세가 칙서 <Ex illa die>를 반포하여 중국 의례에 대한 금지령을 내리면서 상황이 변하고 있었다. 그에 앞서 1698년에는 옹정제(雍正帝)가 금교령을 반포하였고, 강희제(康熙帝)는 의례 금지령에 반해 선교사 추방령과 선교 금지령을 잇달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1705년에 신자수 30만 명에 이르던 중국 교회의 교세는 크게 감소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