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홍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292회 작성일 21-03-19 08:58

본문

홍콩


지명부터 향기로운 항구향항香港이라서 그럴까? 홍콩은 오래전부터 낭만이 출렁이던 천혜의 해협이었다. 183767, 최양업 김대건 최방제 신학생이 도착했을 때도 무지하게 신났을 것이다. 무엇보다 6개월이나 걸렸던 대륙의 도보 횡단이 완주 되는 순간이었다. 또 신학생으로서 학업에 임할 수도 있었다. 거기다가 당대 최고 선진 문물인 대영제국의 영화가 당, 송 시대부터 터를 잡은 중국의 문화 위에 꽃피우려 하였으니, 동서양이 만나는 세계의 도시가 따로 없었다. ‘동방의 진주라 불리던 이 영화는 1842년 아편전쟁 조인식 후 150년이 넘도록, 최강대국의 조차지로서 일신우일신, 나날이 새로운 빛을 더해갔다.

 

김대건 신부님이 홍콩과 마카오에 한 차례 살았다면 최양업 신부님은 두 차례를 살았다. (이하, 마카오를 홍콩에 포함해서 말해도 될 정도로 두 도시는 가깝고, 홍콩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두 분이 함께 산 첫 번째는 4년 반 정도(1837년부터 1842년까지 중 롤롬보이 피난 기간은 제외) 이고, 1847년 초 부제 최양업으로서 재차 갔을 때는 막 마카오에 있던 파리 외방 극동 대표부가 홍콩의 스타운톤가로 이사 온 무렵이었다. 이때 최부제는 현석문 가롤로 등이 작성한 <기해ㆍ 병오박해 82위 순교자들의 행적>을 라틴어로 번역하여 로마 교황청에 상신한다. 이 시복시성 청원서는 18471015일 예부성성(시성성)에 접수되었고, 1857924일에 82위 전원이 가경자로 선포된다. 병오년 순교자의 명단에는 김대건도 있었으니, 김신부님이 성인품에 오른 것은 절친 최양업 부제의 홍콩 체류 덕분이다. 1859년에서야 최신부님은 경상북도 안곡에서 이 기쁜 소식을 편지로 나눈다. “우리 가경자들이 머지않아 성인 반열에 오르시어 세계의 모든 교회에서 공식으로 공경을 받으실 날이 올 때, 얼마나 기쁘고 영광된 날이 되겠습니까?” 그런데 정작 한국 순교성인을 만들어낸 장본인은 아직 가경자시니, 최신부님의 느긋한 성품은 천상에서도 여전하신가 보다.

 

홍콩은 필자가 개인적으로 식도락 호사를 누렸던 곳이다. 20061월 만주벌판의 삭풍은 심양 기온을 영하 30도 밑으로 떨어뜨렸다. 코끝이 알싸하면 영하 10도인데, 영하 30도가 넘으니 마스크 사이로 올라오던 입김이 머리카락 고드름으로 얼었다. 마침 방학을 맞은 필자가 그렇게 하자고 종용한 것인지 홍콩 한인성당 주임인 대구교구 동창이 먼저 부탁해온 것인지는 모르겠다. 하여튼 두 달이나 한국에 갈 일이 있다고 미사를 부탁해 올 때는, 정말 홍콩 갈 듯이 기뻤었다. 죄송하지만 필자가 지금까지 기억하는 건 신자분들의 얼굴이 아니다. 또 영상 12도밖에 안 되는데도 얼어 죽겠다던 따뜻한 남쪽 기후만도 아니다. 바로 그때 맛보았던 전 세계의 요리이다. 레지오가 8팀 있었는데 수요일 점심마다 강복을 준 다음 한 팀씩 돌아가며 외식을 했다. 단장님들끼리 뭔 얘기가 오갔는지 불문율은 오직 하나, 심양에서 온 신부님이 먹은 국가의 음식은 제외한다는 거였다. 당시 홍콩은 유럽 각국과 남미 수 개국의 음식점이 한 블록 안에 있었으니, 이게 영 말이 안 되는 것도 아니었다.

 

2017, 한국사제모임 참석차 홍콩에 갔을 때 적잖이 놀랐다. 1997년 영국이 반환한 지 꼭 20년밖에 안 되었는데, 중국말을 하자 환영하는 빛이 아니었다. 우중충해진 도시 역시 동방진주의 때깔은 아니었다. 시민들의 눈에도 빛이 바래졌다. 그러고서 2년 후엔 아니나 다를까, 홍콩시위가 터진 것이다. 아무려나, 여전한 마카오에는 파리외방 극동대표부와 조선 신학교, 또 앞 벽만 남은 바오로 성당과 김대건 동상이 있는 카모에스 공원이 들러야 할 곳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