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차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345회 작성일 21-03-19 08:57

본문

차쿠


한반도의 연장 해안선처럼 뻗어 나간 중국 요동 반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차쿠(岔溝)는 현재 필자의 집이요 일터요 성전이다. 비록 중국의 정치 특수성 상 전례 공동체를 형성할 순 없었지만, 사제가 꼭 미사 집전을 통해서만 신자를 만나라는 법은 없다. 주례를 금하고 강론을 못하게 하면 말씀 나누기라는 방식도 있다. 또 명절날, 생일날, 손녀의 12살 기념식 날, 차쿠의 천주교인들은 지역의 유일한 사제인 한국 신부를 초대한다. 어떤 때는 나의 밭에서, 어떤 때는 그들의 도화 꽃 핀 밭에서 땅을 일구며 땀도 함께 흘린다. 지금 코로나 때문에 못 가고 못 만나서 많이 보고 싶지만, 그래도 중국 SNS로 매일 안부를 주고받는 차쿠의 사람들이다.

 

2021년 한 해를 최양업, 김대건 신부님 탄생 200주년으로 뜻깊게 보내고 있다. 그런데 과연 국내에 두 분이 같이 살던 성지가 있었을까? 없는 것 같다. 김대건 신부님이 워낙 일찍 순교하셨기 때문이다. 대륙에는 그래도 김ㆍ최신부님이 같이 살던 공통성지가 서너 군데 있다. 그중 한 곳이 차쿠이다.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1849512월 보좌 사목)인 줄만 알았는데, 그 산기슭인 백가점이 김대건 신부님의 요동 편지의 발신처(4, 5, 6, 7번째 서한)로서 동일지점이 되기 때문이다.

 

차쿠에는 조선으로 입국하려던 파리외방선교사들의 <선교사 대기소>가 있었다. 봄에 도착한 선교사라도 압록강이 결빙되는 겨울까지 기다려야 했다. 그냥 물 위를 도강하다가는 십중팔구 국경수비대에게 발각될 것이었다. 눈보라가 몰아치는 밤, 하얀 광목을 뒤집어쓰고 강 얼음 위를 기어가야 붙잡히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러다가 1866년 병인박해 직후, 차쿠는 조선 천주교회의 보루가 된다. 가까스로 조선을 탈출한 리델 신부가 차쿠에서 조선의 제6대 주교가 되었고, 1868<조선 교구 임시 청사>가 이사해온 것이다. 영토는 중국 땅이지만 교회로서는 조선 소속 본당이었다. 그리고 그동안 설왕설래했던 무엇 때문에 학생들을 멀리 홍콩까지 걸어오게 하여 진을 빼는가? 가까운 국경에 민가 몇 채를 매입하여 신학교를 하면 되지 않는가?”하던 의견이 관철되어 <조선 신학교>도 열게 된다.

 

이러한 차쿠의 역사에 필자의 개인사도 덧붙이고 싶다. 200611일 차쿠가 다름 아닌 백가점이었음을 확인한 후, 정확히 딱 10년 만인 201611, 차쿠에 4층짜리 교육관을 지어 입주했다. 외국 종교가의 그 불가능한 거주를 가능하게 한 장본인야말로, 차쿠에서 요양을 한 전영부 신부라는 점을 꼭 말하고 싶은 거다. 일이 되려고 했는지 이 중국 신부님은 필자와 출생연월일이 완전히 일치했다. 이런 천생연분을 중국인들은 아직도 못내믿고 있는 바다. 이 미신 같은 힘이 마침내 중국 공산당들에게도 샛길을 내어주고 말았다. 그래서 지금은 상주할 뿐 만이 아니라, 한국인 순례객이 오면 성지 미사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오지에서 외국인 혼자 고생한다고 중국 수녀님들까지 파견해 주었다.

 

차쿠의 주변에 대련 여순 안중근 감옥이 있고, 변문(邊文) 옆 단동(丹東) 에는 북한 철교와 세 신학생 도강지역이 있다. 또 민족의 성산이라는 백두산 천지도 그리 멀지 않다. 어서 코로나 19가 안개처럼 활짝 걷혀서 빨리 차쿠에 돌아가고 싶다. 지금 이렇게 지면으로만 성지를 안내할 게 아니라, 거기 직접 살면서 반가운 고향 분들처럼 독자들을 맞이하고 싶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