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소팔가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404회 작성일 21-03-19 08:56

본문

소팔가자

재중국 한국교회 성지들을 12군데 선정하고, 앞으로 1년 동안 1달에 한 곳씩을 소개하면서, 지면상으로나마 독자들과 함께 중국 성지순례를 떠날 참이다. 동아시아 복음화연구소에서 필자에게 원고를 청탁해왔을 때 선뜻 거절하질 못했다. 필자가 지금 중국에 나가 사는 이유가 중국 선교도 있지만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인 차쿠에서 시복시성을 위한 현양 운동에 일조하기 위함인데, 밝아오는 2021년이 최양업 김대건 신부님의 탄생 200주년이기 때문이다. 빼도 박도 못할 제안이었다.


소팔가자는 재중국 한국교회 관련 사적지 중 단연 제1번지라고 할 수 있다. 한국교회의 성직자들이 가장 많이, 가장 오래 몸담았던 곳이기 때문이다. 최양업 신부님은 4년 넘게 (1842,111846,12) 상주하면서 소신학교 교사까지 담임했다. 2년 가까이 머물렀던 김대건 신학생 역시 이곳에서 최양업과 함께 부제품을 받는다. 18441210일경, 조선의 첫 부제들을 탄생시킨 페레올 주교님 역시 조선의 3대 교구장이다. 또한 소년 김대건에서 중년 최양업까지 떼려야 뗄 수 없는, 현재 대전 신학교 뒷산에 영면하고 있는 매스트르 신부 역시, 만주라고 일컫는 이 광활한 동북평원의 복판에 자리 잡은 소팔가자에서 수년을 상주했다.


지린성의 창춘(長春)에서 북서쪽으로 약 70리 정도 떨어져 있는 옛 교우촌(현 허링쩐合隆鎭에서 서쪽으로 8킬로 떨어진 빠지아춘八家子村)이다. 본래 대팔가자와 소팔가자 교우촌이 있었으나, 현재는 팔가자촌만이 교우촌이자 본당으로 남아 있다. 산동성에서 이주해온 여덟가구의 천주교 신자들이 허허벌판에 동네를 차렸다고 해서 팔가자촌이다. 1838년까지 북경대목구 관할 지역이었는데 요동대목구(1840년 만주대목구로 개칭됨)가 분리 설정되면서 새 대목구의 관할 지역이 된다. 초대 요동교구장으로 임명된 파리외방전교회 베롤(E.J.F. Verrolles, 方若望) 주교는 소팔가자 일대의 광대한 토지를 매입한 뒤 성당을 건립하였다. 당시 베롤 주교의 결심에 커다란 영향을 준 것이 골목마다 우렁차게 들려오는 기도 소리였다고 한다. 이렇게 건립된 유서 깊은 성당은 1900년 의화단에 의해 파괴되었고, 1908년에 재건된 성당 역시, 지난 2017년 현재의 대성당이 신축되면서 모습을 감추었다.


필자는 소팔가자에서의 추억을 잊을 수 없다. 2006김대건로의 빼곡한 가로수가 푸릇푸릇 물이 올라올 무렵, 서투른 중국어로 택시를 잡아탄 성지순례였다. 주임신부와 인사를 나누고 마당에 나왔을 때 성당 안에서 수십 명의 어린이가 부르는 성가 소리를 들은 거다. 티 없고도 거침없는 찬가는 금방이라도 한국인 후배를 시간 이동시켜서, 160년 전 김대건 최양업 대선배를 만나게 해 줄 것 같았다. 그렇게 멍하게 서 있는데, 성당 안의 아이들보다 훨씬 어리고 개구진 아이들이 품에 들어온 것이다. 중국인 신부가 나도 션푸神父라고 소개하기가 무섭게 사내아이 여자아이 할 것 없이 쏙 안겨들거나, 빙 둘러섰다. 그동안 1년 남짓 응어리졌던 이국의 외로움이 일시에 녹아버리고, 따뜻한 위로가 차올랐다. 그것은 국경과 민족을 초월해 자모이신 교회가 주는 위로 같았다. 시간을 초월해 최양업 김대건께서 주시는 환대 같았다. 현재 신축한 대성당은 하도 어마어마해서 그때의 아기자기함은 없어졌지만 말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