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2) 조선교구 대표부와 신학교 소재지 차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377회 작성일 19-04-12 23:07

본문

2) 조선교구 대표부와 신학교 소재지 차구


차구와 양관 성당은 1866년의 병인박해 이후 다시 한국 천주교회와 깊은 관련을 맺게 된다. 왜냐하면 지리적으로 요동 땅에서도 이 지역이 조선과 가장 가까웠고, 이로 인해 1867년 이래 조선에 파견된 선교사들이 차구와 양관 성당에 거주하게 된 때문이다. 우선 조선 선교사로 임명되어 중국으로 건너온 파리외방전교회의 리샤르(E. Richard, ), 마르티노(A. Martineau, ), 그리고 훗날 제7대 조선교구장에 임명되는 블랑(J. Blanc, 白圭三) 신부 등은 병인박해 때문에 조선으로 가지 못하고 이곳 차구에서 생활하였다. 이어 186610월에 조선을 탈출하여 산동에 도착한 칼래(N. A. Calais, ) 신부가 차구로 와서 이들과 합류하였고, 병인양요 때 프랑스 함대에 승선하여 조선을 왕래했던 리델 신부도 1868년 말과 18694월 말에는 차구로 와서 조선 입국을 모색하게 되었다.


186812월에 리델 신부는 조선교구의 장상으로서 조선 선교사들과 함께 차구에 모여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 회의(synode)를 개최하였다.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과 같이 조선교구의 제1차 성직자 회의는 1857년 서울에서 개최되었고, 이때 베르뇌 주교의 <장주교윤시제우서>(張主敎輪示諸友書>가 신자들에게 반포되었다. 2차 성직자 회의에서는 주로 조선 입국과 전교, 전교 후의 사목 방향 등에 대한 내용이 결의되었으며, 128일에는 조선 선교사 모두가 이 결의문에 서명하였다.


이어 리델 신부는 18691월 말 혹은 2월 초에 차구 성당을 조선 입국의 거점으로 삼기 위해 만주교구장 베롤 주교와 협의하여 이 지역의 사목 관할권을 부여받기로 하였다. 베롤 주교도 이에 동의하였다. 그 결과 만주교구의 일부요 요동 교회의 중심지인 차구 지역의 사목 관할권이 조선의 선교사들에게 위임되었고, 이때 양측에서는 공동 재산 계약서까지 작성하였다. 당시 리델 신부가 이미 교황청으로부터 제6대 조선교구장으로 임명된 후였다(1869427일 교구장 임명, 187065일 로마 서품식).


1869년 초에는 이처럼 차구 지역의 사목 관할권 즉 재치권(jurisdictio)이 만주교구에서 조선교구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재산 계약서에서 양측의 공동 소유를 규정한 점에서 볼 때, 이 재치권은 조선 선교사들이 조선에서의 완전한 전교 활동을 획득할 때까지로 한정된 일시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되며, 조선 선교사들뿐만 아니라 만주 선교사들도 차구 성당과 교회 소유 재산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한편 리델 신부나 조선 선교사들이 이후에도 자주 양관에서 머물던 사실에서 볼 때, 양관 성당의 사용이나 사목도 이 재치권 안에 포함되어 있었지 않나 추정된다. 양관 성당의 사목이 조선교구에 위임되었다면, 그 담당자는 잉츠(營口)에서 사망한 마르티노(18411875) 신부였을 것이다.



이후 리델 신부는 조선 교회의 장상으로서, 1870년 이후에는 교구장으로서 모든 활동을 이끌어나갔다. 우선 그는 조선교구의 대표부를 차구에 두었으며, 조선교구 신학교도 이곳에 설립하였다. 그리고 리샤르(18421880) 신부를 차구 본당의 주임으로 임명함과 동시에 대표부 일과 경리를 맡아보도록 하였다. 이곳 신학교에서는 1872년 이래 중국인 배 야고보, 민 다미아노 등이 사제로 서품되었으며, 한국인 요셉과 도미니코도 이곳 신학교에서 공부하다가 1876년에 귀국하였다.


그런 다음 리델 주교는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조선의 문호가 개방되자 다시 조선 입국을 시도하여 이 해에 블랑 신부와 드게트(V. Deguette, 崔東鎭) 신부를 조선에 입국시켰고, 다음해 920일에는 그 자신이 두세(C. Doucet, 丁加彌) 신부 및 로베르(A. P. Robert, 金保祿) 신부와 함께 조선에 입국할 수 있었다. 리델 주교는 이후 1878128일에 체포되어 포도청에 갇혀 있다가 624일 의주에서 중국으로 추방되었으며, 다시 차구로 돌아가 조선 선교사들을 위한 ????한불자전????????한어문전????의 편찬에 노력하였다.


프랑스 선교사들이 이처럼 조선에 입국할 수 있는 통로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리샤르 신부는 차구의 사목을 맡고 있었으므로 조선에 들어오지 못하다가 1880928일 장티푸스로 사망하여 차구 성당 앞의 언덕에 안장되었다. 이때부터 리델 주교는 차구의 대표부를 일본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고, 1881년에는 마침내 일본 나가사키(長崎)로 대표부를 이전함과 동시에 코스트(E. Coste, 高宜善) 신부에게 그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 자신은 나가사키에서 병을 얻어 다음해 프랑스로 귀국하지 않으면 안되었다(1884년 고향 반느에서 선종). 조선교구의 대표부가 나가사키로 이전됨과 동시에 조선 선교사들이 갖고 있던 요동에서의 재치권도 자연 소멸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