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중국한국천주교회사적지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
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
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
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재중국천주교 사적지(성지) 일
재중국 한국천주교회사 관련 사적지(=성지)

(자료: 차쿠성지 이태종 요한 신부)

1831년 9월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로부터 조선대목구로 설정된 한국천주교의 모교회는 중국 북경교구이다. 그래서 중국 내에는 한국천주교와 관련된 유서깊은 사적지가 많은데, 아래는 그 대표적인 다섯 곳이다.  

사적지현소재지대표적인 사료역사적 의의
마가자
(서만자)

내몽고 적봉시 동산향
(하북 장가구시 숭례)

조선 초대교구장
소주교(발트 로메오 브르기에르)의 서한,일기
북만주 '뺄리꾸' 교우촌이라 일컬어 졌던 이곳은
대룩을 횡단하던 선교사들의 오아시스 같았던 곳,
1835년10월경 소주교는
부근에서 사망한 후 이곳에 안장.
지금은 적봉교구 소속 사제 2~3명이 성무 집행 중.
소주와 상해당시 '소주시 곤산현'
(=쿤산 내의 출생지,
현재 위치 아직 불분명)
상해시
김가항,
서가회
파리외방선교회 고문서고.
한국교회사 연구소
중국 교회사 개관
1794년 북경 구베아 주교는
소주 곤산현 출신 주문모 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파견.
1795년 정월에 초대신부로
서울 도착시 한국 신자 4000여명.
이후 6년간 성무 집행.
1801년 신유박해 때 치명함.
차쿠와 
양관

(백가점) 

요녕성 장하시(차쿠),
개주시(양관)
김대건의 4,5,6,7번째 편지.
최양업의 사목 선서문(1849년6월21일): 최근 발견됨.
리델주교(6대 교구장)의 편지
차쿠와 백가점에 대해서는
미구에 양업교회사 연구소 발표 예정.
차쿠는 최양업 신부님의 첫 사목지/
1868년(병인박해) 직후 조선교구 대표부 설치 후,
제2차 조선교구 성직자회의(시노드) 개최.
신학교 소재지.
양관은 3대 교구장 페레올 주교의 주교서품지.
1838년 이후 조선에 파견될 사제들의 대기소 역할.
요녕 교구의 초대 주교좌 본당

마카오

(홍콩) 

아오먼 특별행정자치구1836년12월3일 서울을 출발한
3명의 신학생이 1837년6월7일
마카오 신학교에 도착.
이후 5년간 신학과정 공부.
파리외방전교회의 극동대표부와 대신학교가
이곳에 함께 있었고,
김대건, 최양업의 스승인 르그레주와 신부와
리부와 신부 등이 재직함.
까모에스 공원내에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는 곳이
신학교 자리임.
소팔가자장춘 합릉 서쪽6킬로 지점김대건 신부의 8번째, 9번째 편지.
최양업 신부님의 2번째 편지.
페레올 고주교의 편지, 일기.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동시 부제 서품지.
이후 최양업 부제는 소팔가자에서
4년간 더 머물며 부제실습과
어린학생들을 가르치며 사목을 도왔음.
현재 길림교구 소속 사제 2명이 성무 집행 중.
길림교구와 수원교구 자매결연

이 유인물의 복사 배포시에는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단 복사배포는 원하지 않습니다.) 


















































 


장하의 차쿠성당, 백가점성당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401회 작성일 19-04-12 23:05

본문

장하의 차구백가점

 

1) 최양업 신부의 첫 사목지 차구백가점

베롤 주교는 양관 성당을 건립할 즈음에 그 남쪽에 위치한 차구(Tcha Keou) 교우촌, 즉 지금의 용화산진 교우촌에도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1840년 당시 이곳에는 110명 가량의 신자들이 거주하고 있었는데, 베롤 주교는 얼마 뒤 이곳 차구에 성당을 건립하고는 로마에 있는 눈의 성모 성당’(聖母雪之殿, Notre Dame des Neiges)의 이름을 빌려 이 성당의 주보로 정하였다. 왜냐하면 이 성당은 아름답고 높은 첨탑을 가지고 있었던 데다가 차구 주변은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눈이 오면 사방이 눈으로 덮여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실제로 차구 남쪽 가까이에는 아름다운 계관산(鷄冠山)이 솟아 있는데, 이러한 차구 성당의 위치에 대해 제6대 조선교구장 리델(F. Ridel, 李福明) 주교도 훗날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이 성모설지전 성당은 북쪽으로는 영광의 산’(蓉花山을 말하는 듯), 남쪽으로는 작은 시내에서 몇 걸음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계관산사이에 있고, 이 작은 시내(東岔溝)는 지금 거의 다 말라버렸습니다.”

 

최양업 신부는 신학생 시절부터 이곳 차구 지역과 밀접한 연관을 맺게 된다. 18421022일 요동의 태장하(太莊河)에 상륙한 지 4일 뒤인 26일에는 차구 이웃(東岔溝 시내 건너편) 백가점(白家店) 교우촌의 두() 요셉 회장댁에 머물다가 소팔가자로 올라갔었다. 아마도 당시에는 차구에 성모설지전 성당이 건립되기 이전이었을 것이다.


* 백가점 -- 김대건 신학생의 기록 : “백가점은 바다에서 (북쪽으로) 60리 가량 떨어져 있으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신자수는 약 200명 가량.”


최양업 신부는 1849415일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는 고국 조선에서 가까운 요동을 향해 출발하였다. 그런 다음 같은 해 5월부터 620일까지 차구 성당에 있는 베르뇌 신부 아래서 사목 실습을 하다가 1849621일 베르뇌 신부 앞에서 중국 의례(儀禮)’에 대해 규정한 교황 글레멘스 11세의 금지령 <Ex illa die>(1715319)와 교황 베네딕도 14세의 칙서 <Ex quo singulari>(1742711)를 준수할 것을 선서한 뒤 보좌 신부로 사목을 시작하였다. 중국 땅에서 중국인 신자들을 대상으로 사목을 한 첫 번째 조선인 성직자가 된 것이다.


이에 앞서 베르뇌 신부는 1848년 이전까지 양관과 사령(沙嶺)을 중심으로 사목했으며, 1849년 초에는 요양(遼陽)에 들렀다가 차구로 거처를 옮겨 생활하였다. 그 동안 양관을 주요 선교 거점으로 삼았던 베르뇌 신부가 1849년에 이르러 자신의 선교 거점을 차구로 이전한 이유는 1848년에 양관 지역에서 일어난 사건 때문이다. , 184834일 만주를 순방하던 중 양관에 도착하여 그곳 사제관에서 머물던 베롤 주교가 비신자로부터 피격을 받은 것이다. 이때 가까스로 목숨을 구할 수 있었던 베롤 주교는 다음해 4월 상해 주재 프랑스 총영사 몽티니(Montigny)에게 서한을 보내면서 조약(1844년의 황포조약)을 위반하고 비신자들이 양관 성당을 공격한 데 대해 항의하면서 조치를 취해 주도록 요청하였다. 이로 인해 베르뇌 신부는 양관 성당으로 가지 못하고 차구로 부임하였으며, 그 결과 최양업 신부가 차구에서 사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최양업 신부가 1849년 말 조선으로 귀국한 뒤에도 베르뇌 신부는 차구에 거처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1854년 말 조선교구장으로서 주교 서품식을 가진 뒤 조선 입국을 위해 18559월 요동을 떠나게 된다. 그 후 만주교구장 베롤 주교는 한때 차구 성당에 주교관을 두고 만주를 순방했는데, 1862년 차구 성당의 신자수는 530명이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