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중국차쿠성당 | 차쿠성지





 

차쿠(岔溝)성당 역사 "

 

 


1842년 초겨울 이미 만주의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무렵,

만주인이 아닌 몇몇 사람들이 요동 반도의 남쪽 해안(태장하太莊河)에 상륙하였다.


 

 <요동반도 http://chaku.kr/bbs/board.php?bo_table=01_guide&wr_id=3장하>

 

 

 

마카오를 떠난 조선 신학생 최양업과 김대건,

그리고 이들을 지도할 책임을 맡은 조선 선교사 매스트르 신부와

만주 선교사 브뤼기에르 신부 일행이었다.

 

 

 

이들은 요동 땅에 상륙한 뒤 '백가점'(白家店) 교우촌에 머물다가

하나둘씩 '양관'(陽關)을 거쳐 만주 북쪽의 소팔가자로 올라갔다.

 

김대건은 이 때 곧바로 북상하지 않고

184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백가점에 거처하면서

 

봉황성 책문으로 나가 조선의 밀사를 만난 뒤

귀국로를 탐색하기도 했다.   ​<더 보기>

 


 
 





차쿠(岔溝)성당 역사 "

 

 


1842년 초겨울 이미 만주의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무렵,

만주인이 아닌 몇몇 사람들이 요동 반도의 남쪽 해안(태장하太莊河)에 상륙하였다.


 

 <요동반도 http://chaku.kr/bbs/board.php?bo_table=01_guide&wr_id=3장하>

 

 

 

마카오를 떠난 조선 신학생 최양업과 김대건,

그리고 이들을 지도할 책임을 맡은 조선 선교사 매스트르 신부와

만주 선교사 브뤼기에르 신부 일행이었다.

 

 

 

이들은 요동 땅에 상륙한 뒤 '백가점'(白家店) 교우촌에 머물다가

하나둘씩 '양관'(陽關)을 거쳐 만주 북쪽의 소팔가자로 올라갔다.

 

김대건은 이 때 곧바로 북상하지 않고

1842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백가점에 거처하면서

 

봉황성 책문으로 나가 조선의 밀사를 만난 뒤

귀국로를 탐색하기도 했다.   ​<더 보기>



 
 
[ 차쿠설지 순례기01 ] 최양업 신부의 발자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쿠지기 댓글 0건 조회 696회 작성일 19-03-23 13:41

본문

'최양업 신부의 발자취를 따라서' 중국순례기

사제서품후 머물던 양관성당은 담벼락만 남아 사료창고로..

d6b9cd4d2ce568e02e0f7bf1a36629fd_1553316169_1558.jpg
 


최양업(1821∼60)은 이 땅에 가톨릭 신앙의 주추를 놓은 목자요 땀의 증거자다. 그는 김대건(1821∼46)과 함께 첫번째 신학생이었으나 두번째 사제로 밀리면서 행적이 가려져 있었다. 

초대신부며 순교자인 김대건 성인에게만 쏠려있는 영성의 눈길을 최양업 백색 순교자에게 돌릴 필요성이 여러해 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런 의미에서 양업교회사연구소(소장 차기진)가 7월 중순 '최양업 신부의 발자취를 따라서' 실시한 중국 북부지역 순례는 매우 뜻깊었다. 최양업 신부의 유학경로, 고난의 피난생활, 귀국길을 찾기 위해 헤매던 만주벌판, 중국 현지의 사목지 등을 더듬는 동안 그의 숨결을 뜨겁게 느낄 수 있었다. 

청주교구 배티성지 담임 유한영 신부를 단장으로 구성된 순례단 24명이 답사한 첫번째 사적지는 길림성 장춘 근교의 팔가자성당. 우리 일행이 도착한 시간에 성당을 가득 메운 신자들은 십자가의 길 기도를 바치고 있었다. 유독 어린이들이 많았는데도 모두들 정숙한 태도여서 어린이 미사는 시끄럽다는 일반의 고정관념이 완전히 사라졌다. 

1838년 요동교구(훗날 만주교구)가 설정되면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이 일대 토지를 매입하고 성당을 건립하였으나 1900년 의화단 사건 이후 사제가 상주하지 않다가 1980년에야 주임신부가 부임했다고 한다. 

1844년 12월 김대건·최양업 두 신학생이 페레올(제3대 조선교구장)주교로부터 부제로 서품된 곳이 팔가자성당이니 지금부터 155년 전의 일이다. 김대건 부제가 팔가자에서 1년 반 가량 머문 데 비해 최양업 부제는 4년 동안 신학공부를 계속하면서 조선 입국로를 탐색했다. 팔가자 마을 포장도로 입구에는 '김대건로'라는 표지판, 그리고 성당 뒷마당에는 김대건 동상이 세워져 있으나 최양업에 대해서는 아무런 흔적도 발견할 수 없어 아쉬웠다. 

두번째 답사지는 요동반도에 있는 개주 외곽의 작은 부락인 양관으로 현재의 지명은 나가점이었다. 

양관성당은 1843년 12월 페레올 주교의 성성식이 열리고, 최양업 신부가 1849년 4월 상해에서 서품을 받은 후 조선 입국을 도모하면서 7개월간 머문 곳이다. 성당은 파괴되어 담벼락만 겨우 남아 있다. 한 때 그 자리에 초등학교가 들어섰으나 그마저 없어진 채 폐교 건물은 마을 사료창고로 사용되고 있다. 그 창고 교실에서 미사를 드릴 때 예수님이 태어나신 마구간을 내내 연상하였다. 

유한영 신부가 “우리나라 신자들이 이곳을 계속 순례하다 보면 마을 주민들도 자연히 회심할 것이다. 그만치 신앙의 힘은 강하다”라는 내용의 강론을 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미사 도중 마리아 세례명을 가진 부인이 찾아와 성호를 그었다. 그 순간 우리 일행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왕조 때 신앙인들은 중국을 통해 복음을 전해 받았으나 오늘에 와서는 우리들이 중국과 북한을 향한 북방선교를 할 때임을 절감하였다. 최양업 신부는 이곳에서 조선 입국을 기다리는 동안 북방 선교사로서 솔선수범했다고 말할 수 있다. 

장하시 북쪽 70리 거리에 위치한 차쿠를 세번째로 답사했는데 성당 이름은 인근의 산 이름을 딴 용화산 성모설지성전이었다. 차쿠는 요동의 주요 사목거점으로 제4대 조선교구장 베르뇌 주교가 요동교구에서 사목하던 1849년 이곳으로 옮겨와 생활했다는 기록이 있다. 최양업 신부가 베르뇌 부주교 앞에서 중국 의례의식으로 선서를 한 뒤 성직을 수행한 곳이 용화산인 점으로 미루어 한때 최 신부는 차쿠에서 사목했을 가능성이 크다. 

네번째 답사지는 봉황성이다. 봉황성은 1789년 조선 최초의 밀사 윤유일이 상인으로 변장하고 북경으로 갈 때 연경사 일행과 함께 노숙한 이래 수많은 밀사들이 지나친 곳이다. 열다섯살의 세 소년이 마카오로 향할 때 이 책문을 지났고, 김대건·최양업이 신학생 때 밀사를 만나 국내사정을 들은 곳도 바로 이곳이다. 

봉황성은 군부대가 주둔하고 있어 접근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먼발치에서 봉우리가 빼어난 봉황산을 하염없이 바라보고 또 바라보았다. 최 신부가 산자락 어디쯤에서 밀사를 만나 고국의 소식을 들으며 조선 복음화를 꿈꾸었을 정경을 마음 속에 그려보았다. 

중국쪽으로는 연변조선자치주에 속하고 우리쪽으로는 함경북도 최동북 지역인 경원과 두만강 사이로 마주하고 있는 훈춘을 다섯번째로 순례하였다. 김대건 신부가 만주 벌판을 가로질러 고난의 여행 끝에 훈춘을 거쳐 경원으로 들어가 조선밀사를 만난 사실은 훈춘 여행기에 남아 있다. 

1846년초 최양업 부제도 매스트르 신부와 함께 조선 입국로를 탐색하기 위해 훈춘으로 숨어들었었다. 그때는 중국 땅이 아닌 러시아 땅으로 여행중 국경에서 체포되었다가 이틀 만에 석방된 적이 있다는 게 차기진 소장의 설명이다. 

중국 땅을 작년에도 사전 답사한 바 있는 차 소장은 “의주 북서쪽에는 교우촌이 많았다”며 “바다에서 북쪽으로 60리 가량 떨어져 있으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신자수는 약 200명 가량이라는 김대건 신학생의 기록을 뒷받침할 백가점과 그 밖의 몇몇 교우촌 등 더 답사할 곳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북경에는 17개의 천주당이 있는데 이번에 17세기초에 지어진 남당과 북당을 방문했다. 남당은 문화혁명 때 파괴되었지만 설계도가 남아 있어 원형대로 다시 지었고, 북당은 일부만 파괴돼 윗부분을 조금 높여 복원했다고 한다. 

북당은 1784년초 이승훈이 그라몽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은 장소이니 우리나라 교회 창설과 관련이 깊은 곳이다. 남당은 현재 북경교구 주교좌 성당으로 마침 주일미사를 그곳에서 봉헌했는데 어린이부터 할아버지까지 혼성으로 구성된 성가대가 매우 인상적이었다. 북경에서 지난 1년간 500명 가량 새 영세자가 나왔는데 그 중 절반이 남당 주교좌에서 나왔다고 한다. 

1637년 병자호란 때 심양으로 잡혀간 소현세자가 북경에 와서 아담샬 신부를 만난 곳이 바로 남당이었다. 소현세자는 선진 문명에 눈을 떠 중국에 들어와 있는 서양문물을 조선이 받아들이길 원했다. 특히 그는 천주교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으나 8년 동안의 볼모에서 풀려나 귀국한 지 2개월여 만에 급서하는 바람에 모든 게 수포로 돌아갔다. 

최양업 신부 발자취를 따라간 이번 중국 사적지 순례에서 그의 신앙과 업적을 알리는 동시에 자발적인 현양운동을 펼쳐야겠다는 다짐을 굳게 하였다. 거기에 보태어 중국과 북한에 대한 북방선교가 절실한 때임을 통감하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